신변잡기 (25) 썸네일형 리스트형 찻상-팔각- 찻상의 살대형상은 귀갑(거북 :장수)무늬 이고, 울거미는 인간세계를 뜻하는 팔각 다리의 원, 팔각 , 사각은 각각 하늘(天), 인간(人), 땅(地)을 뜻한다.. 우주에 올라 천상의 신선처럼 즐거움과 기쁨을 누리며, 장수 하시라는 뜻임. 비운(飛雲) 문양 : 바람에 불리어 날아가는 구름의 모양을 형상화.. 산악.. [스크랩] 팔각찻상-1 출처 : 한옥 건축 전문인 5기글쓴이 : 구름-박윤수 원글보기메모 : 찻상-팔각 울거미,거북문양살 [OLYMPUS OPTICAL CO.,LTD] X200,D560Z,C350Z 10/300ms F31/10 ISO128 팔각 모서리 정리를 하고,다리를 제대로 세워서 최종 보고 하겠습니다 [스크랩] 첨밀밀 출처 : 오삿갓의 플래닛입니다.글쓴이 : 오삿갓 원글보기메모 : [스크랩] 눈이 건강해 지는 풍경 눈을 건강하게 해 주는 풍경 : 녹색을 많이 보면 눈이 편해진대요^^ [스크랩] 십우도 / 심우도 ***제공/추포 : 류 희 걸***[십우도/심우도]심우도 혹은 십우도는 본래 도교의 팔우도(八牛圖)에서 유래된 것으로12세기 중엽 중국 송나라 때 곽암선사(廓庵禪師)가 2장면을 추가하여 십우도(十牛圖)를 그렸다. 도교의 팔우도는 무(無)에서 그림이 끝나므로 진정한 진리라고 보기 어렵다고 생각하고 이 그림을 그렸다고 한다.청거(淸居)선사가 처음 그렸다는 설도 있으나 확실치 않다. 한국에는 송(宋)나라 때 제작된 곽암본과 보명(普明)본이 전해져 2가지가 조선시대까지 함께 그려졌는데 현재는 보명본보다 곽암본이 널리 그려진다. 곽암본과 보명본은 용어와 화면 형식이 달라서 곽암본은 처음부터 마지막 단계까지 원상(圓相) 안에 그림을 그리는데 보명본은 10번째 그림에만 원상을 그린다. 대부분 모든 법당 외벽에 자리하.. 드디어 완성 햇슴니다...찻상..7/31 4일 걸려서 겨우 다 했네요... 담에는 조은 작품 함 도전 해 볼께요... 차 한잔 ....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스크랩] 한옥공부 중 소목,창호공방에서 한옥 창살 문양을 이용한 생활도구 들 입니다.. 마니 마니 만들어서 우리 로사사님들께 하나씩 선물 할 그날을 기다리며.. 먼저 눈요기 부터 하세요..혹 그날이 안오더라도 슬퍼 하거나 노여워 하지 말것,ㅋㅋㅋ 가면 꼭 다침니다..어제도 끌로 손을 베어서 ㅉㅉㅉ [OLYMPUS OPTICAL CO.,LTD] X200,D560Z,C350Z 10/300m.. 이전 1 2 3 4 다음